자꾸만 달아나는 세월에 닻을 내리고 떠나지 못하는 추억에 머무르며

한국의 고전미술

혜원 신윤복

산천초목 2008. 11. 25. 12:16

단풍놀이’   

[ 혜원 신윤복 ]

 

단오풍정(端午風情)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방무사 (妓房無事)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무녀신무(巫女神舞)

조선 말기에 유행했던 민간의 굿하는 장면을 그렸습니다.
붉은 옷을 입은 무녀와 여인들이 마당에 옹기종기 앉아있고 담 너머에서 한 사내가

 

여인들을 훔쳐보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월하정인(月下情人)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사거배(酒肆擧盃)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유청강(舟遊淸江)
산 대신 강으로 나간 소풍이라 할 수 있겠다.
수염이 긴 늙은 선비는 점잖게 뒷짐을 지고 있는데 비해,
젊은 선비는 기생의 마음을 끌기위해 뭔가 속삭이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쌍검대무(雙劍對舞)

국보 135호.
넓은 마당 한 가운데서 쌍검을 들고 춤을 추는 두 검녀의 아슬아슬한 대결을

 

정방향 구도와 인물들의 회전 운동으로 그려 정중동의 운동감을 세련되게 표현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청금상련(聽琴賞蓮)
벼슬 높은 양반들과 기생들의 모습입니다.
가야금을 연주하고 듣는 이들과 남녀가 연애를 즐기고 있는 남자등을 그린 작품,
남녀를 바라보며 한심하다고 느끼는 듯한 표정의 남자는 신윤복 자기 자신의 생각을 투영시켰다고 보고 있습니다.신윤복의 작품에서 배경 물체들의 의미가 매우 중요한데 담넘어 들어온 나뭇가지가 남녀의 모습을 훔쳐보고 싶어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월야밀회(月夜密會)
인적이 끊어진 골목길 보름달이 비치는 담 그늘 아래에서 한 남자가 여인을 위압적으로 감싸안고 있습니다.담모퉁이에 비켜서서 조마조마하게 이들을 지켜보는 여인은 그림속의 긴장을 고조시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소답청(年少踏靑)
'연소답청'이란 젊은 선비들이 푸른 새싹을 밟는다는 뜻으로 조선 후기의 양반들의 유한놀이 문화인
들놀이를 말합니다.젊고 늙은 양반들이 종과 기생을 앞세워 풍취 좋은 산천을 찾아 즐기고
돌아오는 모습을 섬세한 필치로 그렸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상춘야흥(常春野興)
진달래 꽃이 피기 시작한 어느 봄날, 양반가의 후원에서 벌어진 연회의 흥취를 그렸습니다.
음악에 흠뻑 취한 주빈의 표정이 이 날의 연회가 아주 성공적이었음을 말해줍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당의 여인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정변야화 - 신윤복  
어스름 봄밤에 우물가에서 일어난 일을 그린것으로 물을 길러 온 두 여인이 춘홍이 오른 듯 보름달 아래서 무언가 이야기를 나누고 돌담 뒤에서 음흉한 양반이 두 여인을 몰래 훔쳐보고 있습니다



 
사시장춘(四時長春)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야금모행(夜禁冒行)
늦은 겨울 밤 기생이 동침을 원하는 양반을 따라 어디론가 가는 모습.
옛날이나 지금이나 남자들은 다 그렇고 그랬나보다. 붉은 옷을 입은 별감이 양반과 기생의 성매매를 중개하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량과 기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전모(氈帽)를 쓴 여인(女人) 

 

 

 

 

 

 휴기답풍[携技踏楓]

    

 

 

 쌍륙삼매[雙六三昧]

 

 


 미인도(美人圖)

 

 조선시대의 미인상은 오늘날의 미인상과는 많이 다르죠?!
 얼굴에 볼살이 통통하게 올라와있고 작은 입술에 가는 눈매를 가진 단아한 여인이 섬세하게 그려져
 있는데 단조로운 그림이지만 노리개를 만지는 손이며,살짝 고개를 숙인 얼굴이며,
 여성스러워 보이는 한복의 매무새까지, 신윤복의 뛰어난 묘사력을 대표해주는 작품이 될만합니다
 신윤복의 연인이였던 기생을 그렸다는 설이 있지만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이부탐춘  
 이부는 과부를 뜻하니 소복을 입은 여인이 마당에서 짝짓기 하는 개와 참새를 보고 웃음을 머금고

 

 몸종이 나무라듯 그 허벅지를 꼬집는 장면입니다.해학적이면서도 여필종부를 강요하는 남존여비사상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읽을 수 있습니다.

 

 

 
 
주사거배 -신윤복
 이 그림의 술집은 선술집입니다.

 왜 선술집인가? 선술집이란 이름은 지금도 드물게 쓰이고 있습니다. 대개 부담없이 '쌈직한 술집'이란 뜻입

 니다. 그러나 의외로 정확한 뜻을 아는 사람은 드물니다. 선술집은 주당들이 모두 서서 술을 마시기 때문에

 그 렇게 부릅니다. 선술집에서는 백 잔을 마셔도 꼭 서서 마시고 앉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만약 앉아서

 마시는 사람이 있다면, 다른 술꾼 패거리가"점잖은 여러 손님이 서서 마시는데, 버르장 머리없이

 주저 앉았담. 그 발칙한 놈을 집어내라"고 하면서 시비를 걸었고, 이때문에 큰 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그림에서도 앉아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기다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고전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절한 천재화가 이인성  (0) 2016.03.24
단원 김홍도  (0) 2008.12.15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0) 2008.11.25